2022년 9월 20일, 간토대학살 진상조사를 촉구하고 피해자의 명예회복을 호소하는 특별법 제정을 위해 시민사회종교단체들이 국회에 모였다. 간토학살100주기추도사업추진위원회의 국회의원 유기홍(더불어민주당)·이명수(국민의힘)· 심상정(정의당)·용혜인(기본소득당)·조정훈(시대전환)·윤미향(무소속)의원과의 공동기자회견이 국회 소통관에서 열렸다.
2014년 19대 국회에서도 유기홍 의원의 대표발의로 여야 의원 103여 명이 특별법안 제정을 추진했지만 안타깝게 제정되지 못했으나, 간토학살 100주기를 앞두고 다시 발의하기로 하였다.
회견문은 “1923년 9월 1일 발생한 간토대지진으로 인한 천재지변 속에서 재일동포들은 마을을 전멸시키기 위해 우물에 독을 풀어 넣는 집단 살상범으로, 일본 경제를 망가뜨리려 산업시설에 불을 지르는 방화범으로, 일왕을 테러하려는 암살범이라는 누명을 뒤집어쓰게 됐다.”며, “일본 정부가 발동한 계엄령으로 재일동포 사회 전체가 일본의 적이 되었다.”고 규정했다.
이어 “계엄령은 간토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도쿄, 가나가와, 치바, 사이타마, 군마 등지에서 계엄군과 경찰, 그리고 정부의 명령으로 조직된 자경단에 의해 6천여 명의 조선인이 처참한 죽임을 당했다.”며, “간토학살 100년을 앞둔 지금, 일본 제국주의의 조선에 대한 식민지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 대량 학살사건은 해방이 되고 77년이 지나도록 정부 차원의 진상조사조차 이루어지지 않아 아직도 그 실상이 온전히 밝혀지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1923년 일본 간토 지역에서 억울하게 죽어간 식민지 조선 사람들은 누구이며, 그들은 왜 죽어야 했는지, 그들의 유해는 지금 어디에 묻혀 있는지, 희생자들을 하염없이 기다렸을 유족들은 어디에 있는지, 그들의 억울한 죽음에 대한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지, 부끄럽게도 우리는 무엇 하나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고 자성하고 책임을 통감했다.
회견문은 “당시 학살된 중국인 피해자 750명의 명단은 일본 정부가 작성하여 중국 정부에 넘겨졌다”며, “일본 정부는 중국인 피해에 관한 배상을 약속했지만, 일본 정부는 단 한 번도 조선인 피해자들의 신원은 밝힌 일이 없다.”고 일본 정부의 이중성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어 “간토학살의 진상을 제대로 밝히는 일은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과제다.”며, “지금이야말로 100년 동안의 무책임을 끝내야 하며, 진상규명을 위한 초당적 협력은 시대적 책무이며 국민에 대한 도리다.”고 통절한 반성을 했다.
아울러 “이제라도 한국 정부가 철저한 진상규명과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추진할 수 있도록 국회가 나서야 할 때다.”며, “그 첫걸음으로 「간토 대학살 진상규명 및 피해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안」을 제정해야 한다.”고 대내외에 천명했다.
성명서는 “특별법 제정을 통해 ▲간토 대학살 사건의 진상과 책임을 규명, 피해자 명예 회복 ▲ 피해자 추도를 위한 추도공간, 역사관 조성 ▲ 간토 대학살 사건에 대한 올바른 역사교육 등을 해 나가야 한다.”며, “간토 대학살사건 진상규명 및 피해자 명예회복을 위해서는 정파를 떠나 여야가 함께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날 기자회견장에는 다수의 단체대표자들이 참여하여 의지를 드높이려 했으나 대부분 마음으로, 혹은 회의장 밖에서 응원하고, 단체를 대표하여 김종수(집행위원장), 이해학(1923한일재일시민연대), 박덕진(시민모임 독립), 이나영(정의기억연대),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정은주(겨레하나), 김삼열(6.15남측위상임대표, 독립유공자유족회 회장), 오하나(6.15남측위원회 사무국장), 한희수(한국YMCA전국연맹), 최상구(KIN-지구촌동포연대) 추진위원이 각 단체를 대표하여 참석하였다.
아래는 기자회견문 전문의 내용이다.
- 1923 간토 조선인 대학살 99주기를 추도하며-
「간토 대학살 진상규명 및 피해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안」제정을 위한 기자회견 2023년은 간토 조선인 대학살 100년이 되는 해다. 1923년 9월 1일 발생한 간토대지진으로 인한 천재지변 속에서 재일동포들은 마을을 전멸시키기 위해 우물에 독을 풀어 넣는 집단 살상범으로, 일본 경제를 망가뜨리려 산업시설에 불을 지르는 방화범으로, 일왕을 테러하려는 암살범이라는 누명을 뒤집어쓰게 됐다. 또한 일본 정부가 발동한 계엄령으로 재일동포 사회 전체가 일본의 적이 되었다. 계엄령은 간토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도쿄, 가나가와, 치바, 사이타마, 군마 등지에서 계엄군과 경찰, 그리고 정부의 명령으로 조직된 자경단들에 의해 6천여 명의 조선인이 처참한 죽임을 당했다. 간토학살 100년을 앞둔 지금, 일본 제국주의의 조선에 대한 식민지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 대량 학살사건은 해방이 되고 77년이 지나도록 정부 차원의 진상조사조차 이루어지지 않아 아직도 그 실상이 온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1923년 일본 간토 지역에서 억울하게 죽어간 식민지 조선 사람들은 누구이며, 그들은 왜 죽어야 했는지, 그들의 유해는 지금 어디에 묻혀 있는지, 희생자들을 하염없이 기다렸을 유족들은 어디에 있는지, 그들의 억울한 죽음에 대한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지, 부끄럽게도 우리는 무엇 하나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 당시 학살된 중국인 피해자 750명의 명단은 일본 정부가 작성하여 중국 정부에 넘겨졌고, 일본 정부는 중국인 피해에 관한 배상을 약속했지만 일본 정부는 단 한 번도 조선인 피해자들의 신원은 밝힌 일이 없다. 간토학살의 진상을 제대로 밝히는 일은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과제이다.지금이야말로 100년 동안의 무책임을 끝내야 하며, 진상규명을 위한 초당적 협력은 시대적 책무이며 국민에 대한 도리이다. 이제라도 한국 정부가 철저한 진상규명과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추진할 수 있도록 국회가 나서야 할 때이다. 그 첫걸음으로 「간토 대학살 진상규명 및 피해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안」을 제정해야 한다. 특별법 제정을 통해 ▲간토 대학살 사건의 진상과 책임을 규명, 피해자 명예 회복 ▲ 피해자 추도를 위한 추도공간, 역사관 조성 ▲ 간토 대학살 사건에 대한 올바른 역사교육 등을 해 나가야한다. 간토 대학살사건 진상규명 및 피해자 명예회복을 위해서는 정파를 떠나 여야가 함께 나서야 한다. 2014년 19대 국회에서도 유기홍 의원의 대표발의로 여야 의원 103여명이 특별법안 제정을 추진했지만 안타깝게 제정되지 못했다. 특별법 제정을 위해 오늘 더불어민주당 유기홍, 국민의힘 이명수, 정의당 심상정, 기본소득당 용혜인, 시대전환 조정훈, 무소속 윤미향 의원이 각 정당을 대표해 참석할 만큼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 2023년 100주기에는 특별법이 제정되어 진상규명과 피해자 명예회복이 시작할 수 있도록 간토학살의 6천여 희생자들, 60만 재일동포들, 간토학살100주기추도사업추진위원회도 함께 해 나갈 것이다. 2022년 9월 20일 국회의원 유기홍(더불어민주당)·이명수(국민의힘)· 심상정(정의당)·용혜인(기본소득당)·조정훈(시대전환)·윤미향(무소속) 간토학살100주기추도사업추진위원회 1923한일재일시민연대(김종수 대표),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이창복 상임대표의장), 강제동원 문제해결과 대일과거청산을 위한 공동행동, 겨레하나(조성우 이사장), 민족문제연구소(임헌영 소장),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이종걸 대표상임의장), 시민모임 독립(이만열 이사장), 우리학교와 아이들을 지키는 시민모임(손미희 공동대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양경수 위원장), 한국노동조합총연맹(김동명 위원장), KIN지구촌동포연대(배덕호 대표), 한국YMCA전국연맹(김경민 사무총장), 평평해(이도헌 단장), 일본군성노예제문제해결을위한 정의기억연대(이나영 이사장), 한일화해와평화플랫폼(김경민 서기), 여성교회(김미령 운영위원장), 한터역사문화연구회(손병주 회장), 자립지지공동체(김미령 대표),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이인석, 이지원 공동대표), 한국진보연대(한충목 상임공동대표),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김자동 회장), 몽양여운형선생기념사업회(장영달 회장), 순국선열유족회(이동일 회장),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함세웅 이사장), 우사김규식연구회(김수옥 회장), 조선민족대동단기념사업회(장명국 회장), 조선의열단기념사업회(박우섭 회장), 흥사단(박만규 이사장), 한일민족문제학회, 사단법인 평화를일구는사람들(박명숙 이사장), 삼균학회 조소앙선생기념사업회, 삼균주의청년연합회(조인래 대표)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권해효 대표), 사단법인 평화디딤돌(정유성 대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정의평화위원회(장기용 위원장), 가재울녹색교회(양재성 담임목사), 기억과평화 사회적협동조합(김창규 이사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