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日관동대지진 피살자 명부 최초 발견·공개
상태바
3·1운동·日관동대지진 피살자 명부 최초 발견·공개
  •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 승인 2015.07.19 16: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1운동·日관동대지진 피살자 명부 최초 발견·공개

3·1운동·日관동대지진 피살자 명부 최초 발견·공개
3·1운동·日관동대지진 피살자 명부 최초 발견·공개
(서울=연합뉴스) 백승렬 기자 = 박경국 국가기록원장과 직원들이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국 정부가 1953년에 전국적으로 조사한 3·1운동과 일본 관동(關東·간토)대지진 피살자 명부를 공개하고 있다. 2013.11.19 srbaek@yna.co.kr

 

 

 

 

 

 

 

 

 

 

1953년 작성된 日강제징병자 세부 명부도 확인

일제강점기 피해배상 문제 새로운 전기 맞을듯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 한국 정부가 1953년에 전국적으로 조사한 3·1운동과 일본 관동(關東·간토)대지진 피살자 명부가 사상 처음으로 발견, 공개됐다.

이번에 우리나라 최초의 일제 강제징병자 세부 명부도 나와 일제강점기 피해보상 문제가 새로운 전기를 맞을지 주목된다.

국가기록원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1953년 이승만 정부가 작성한 '3·1운동시 피살자 명부(1권·630명)', '일본 진재(震災)시 피살자 명부(1권·290명)', '일정(日政)시 피징용(징병)자 명부(65권·22만9천781명)' 등 3가지 명부 67권에 대한 분석결과를 공개했다.

이들 명부는 지난 6월 주일대사관 청사 신축에 따른 이사 과정에서 발견된 것이다. 국가기록원은 이를 이관받아 명부별 분석작업을 거쳐 이날 결과를 공개했다.

이들 명부는 1952년 12월 15일 제109회 국무회의에서 이승만 당시 대통령의 지시로 내무부에서 전국적인 조사를 통해 작성한 명부로 1953년 4월 제2차 한일회담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고 기록원은 밝혔다.

'3·1운동시 피살자명부'에는 1권 217매에 지역별로 모두 630명의 희생자가 실려 있으며 읍·면 단위로 이름, 나이, 주소, 순국일시, 순국장소, 순국상황 등이 자세히 기록돼 있다.

그동안 3·1운동을 하다 순국한 이들 중 공식적으로 인정된 독립유공자 수는 391명에 불과한데, 이번 피살자 명부 발견으로 그 숫자는 3배 가까이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관련, 독립운동가 박은식의 독립운동지혈사에 기록된 3·1운동 피살자 수는 7천509명이다.

'일본 진재(震災)시 피살자 명부'는 1923년 9월 1일 발생한 관동대지진 당시 희생된 한국인 명부로, 1권 109매에 모두 290명의 명단이 기록돼 있다.

 

3·1운동·日관동대지진 피살자 명부 최초 발견·공개
3·1운동·日관동대지진 피살자 명부 최초 발견·공개
(서울=연합뉴스) 백승렬 기자 = 박경국 국가기록원장과 직원들이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국 정부가 1953년에 전국적으로 조사한 3·1운동과 일본 관동(關東·간토)대지진 피살자 명부를 공개하고 있다. 2013.11.19 srbaek@yna.co.kr

 

 

 

 

 

 

 

 

 

 

관동대지진 당시 한국인 피살자수는 6천661명∼2만명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희생자 명단이 확인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명부에는 관동대지진 희생자 이름 외에 본적, 나이, 피살일시, 피살장소, 피살상황이 자세히 기록돼 있다.

'일정(日政)시 피징용(징병)자 명부'는 지금까지 작성된 피징용자 명부 중 가장 오래된 원본기록으로, 65권에 22만9천781명의 명단을 담고 있다.

이는 역시 1957년 한국 정부가 작성한 28만5천771명의 왜정시 피징용자명부에 비해 5만5천990명이 적지만 기존 명부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생년월일이나 주소 등이 포함돼 있어 피해보상을 위한 사실 관계 확인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록원은 내다봤다.

실제로 경북 경산지역의 경우 피징용자 4천285명 중 1천여명이 종전 명부에는 없는 새로운 명단으로 밝혀졌다고 기록원은 설명했다.

박걸순 충북대 사학과 교수는 "3·1운동과 관동대지진 당시 피살자 명부는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최초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과거사 증빙자료로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들 명부가 정부수립 직후 우리 정부 차원에서 처음으로 전국적인 조사를 통해 작성됐다는 것도 의미가 크다"고 덧붙였다.

기록원은 이번에 수집한 자료를 국가보훈처 등 관련부서에 넘겨 독립유공자 선정과 과거사 증빙자료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명부별 세부사항을 정리해 내년 초부터 일반인도 열람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yulsid@yna.co.kr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